2012년 10월 15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기념일

빠다킹신부님 2012-10-15 05:37 ... 조회(189)
  이 게시글이 좋아요 싫어요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12년 10월 15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기념일

제1독서 갈라티아 4,22-24.26-27.31─5,1

형제 여러분, 22 아브라함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하나는 여종에게서 났고 하나는 자유의 몸인 부인에게서 났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23 그런데 여종에게서 난 아들은 육에 따라 태어났고, 자유의 몸인 부인에게서 난 아들은 약속의 결과로 태어났습니다.
24 여기에는 우의적인 뜻이 있습니다. 이 여자들은 두 계약을 가리킵니다. 하나는 시나이 산에서 나온 여자로 종살이할 자식을 낳는데, 바로 하가르입니다.
26 그러나 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의 몸으로서 우리의 어머니입니다. 27 성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즐거워하여라,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아! 기뻐 소리쳐라, 환성을 올려라, 산고를 겪어 보지 못한 여인아! 버림받은 여인의 자녀가 남편 가진 여인의 자녀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31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우리는 여종의 자녀가 아니라 자유의 몸인 부인의 자녀입니다. 5,1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러니 굳건히 서서 다시는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복음 루카 11,29-32

그때에 29 군중이 점점 더 모여들자 예수님께서 말씀하기 시작하셨다.
“이 세대는 악한 세대다.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지만 요나 예언자의 표징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30 요나가 니네베 사람들에게 표징이 된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이 세대 사람들에게 그러할 것이다.
31 심판 때에 남방 여왕이 이 세대 사람들과 함께 되살아나 이 세대 사람들을 단죄할 것이다. 그 여왕이 솔로몬의 지혜를 들으려고 땅끝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라,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32 심판 때에 니네베 사람들이 이 세대와 함께 다시 살아나 이 세대를 단죄할 것이다. 그들이 요나의 설교를 듣고 회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라,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유치원에 들어간 꼬마 아이가 난생 처음으로 계산이라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특히 손가락 숫자만큼의 범위는 거의 완벽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되었지요. 예를 들어, ‘3 더하기 7’이라고 하면 왼손가락 3개에다가 남은 왼손가락 2개와 오른손가락 5개의 숫자를 세어서 ‘10’이라고 대답을 하지요. 그런데 이 모습을 보고 있었던 중학교를 다니고 있던 형이 묻습니다.

“그럼 3 빼기 7은 뭐야?”

이 질문에 다시 왼손가락 3개를 내밀고서 하나씩 제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지요? 왼손가락 3개를 뺀 뒤에 아직도 4개나 더 빼야 하는데 뺄 수 있는 손가락이 없는 것입니다. 결국 화를 터뜨리면서 형에게 말합니다.

“이건 답이 없는 거잖아? 왜 내게 답도 없는 문제를 내는 거야?”

그런데 정말로 답이 없는 것일까요? 산수를 착실하게 배운 사람들은 분명히 ‘-4’라고 아주 쉽게 정답을 말할 수가 있겠지요. 하지만 아직 제대로 배우지 못한 이 유치원 꼬마 아이에게는 손가락 숫자의 범위를 넘어서는 이 답이 거짓처럼 생각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우리의 믿음도 이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즉, 내가 아는 만큼 믿게 된다는 것이지요.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굳건한 믿음이 어떻게 생겨날 수 있겠습니까? 이러한 예를 한 번 들어봅니다.

어느 날 남편이 늦은 밤인데도 불구하고 아무 연락도 없이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때 남편을 잘 알고 또 남편에 대한 믿음이 강한 아내는 ‘무슨 일이 생긴 것 아냐?’라면서 걱정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남편을 잘 알지 못하고 그래서 믿음이 없다면 아내는 ‘이 사람이 도대체 어디 갔다가 아직도 안 들어오는 거야? 혹시 바람 난 것 아냐?’라면서 의심을 품을 수밖에 없겠지요.

주님께 대한 믿음도 이렇습니다. 내가 아는 만큼 믿음의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예수님을 직접 반대했던 이천년 전의 사람들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들 역시 예수님을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알려고도 노력하지 않았지요. 자신의 판단 기준을 세워놓고서 그 기준에만 예수님을 맞추려고 하니, 크신 예수님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예수님께 계속 표징을 요구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즉, 그들은 과거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집트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나오게 하셨던 표징과 같은 차원을 보여 달라는 것이었지요. 그러나 이것은 과거 그 시대에 맞는 표징이었지, 지금 시대에 맞는 표징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그토록 많은 표징을 보여주어도 과거의 표징만을 기억하고 있었기에 예수님을 믿지 못했던 것입니다.

지금 이 시대에 가장 맞는 표징을 보여주시는 주님을 더욱 더 알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야 주님께 대한 믿음도 더욱 더 두터워질 것이고, 주님께서 주시는 표징을 깨달아 이 세상을 더욱 더 의미 있고 힘차게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식들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에게 한 사람으로서 제 몫을 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체 게바라).



교구장 주교님께 금경축 감사패를 받으시는 힐라리오 신부님


강의선 힐라리오 신부님의 금경축을 보면서
어제는 인천교구의 첫 번째 신부님이신 강의선 힐라리오 신부님의 금경축 미사가 답동 성당에서 봉헌되었습니다. 50년. 말이 50년이지, 50년 동안 사제로 살아간다는 것이 정말 쉽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는 신부님께서 쓰신 회고록을 통해서도 알 수가 있지요. 어렵고 힘든 시간들을 이겨냈기에, 어제와 같은 영광스러운 날도 가질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축하의 마음을 안고 금경축 미사에 참석하셨습니다. 주교님들, 신부님들, 또한 많은 신자 분들께서 어제의 금경축 미사에 오셨지요. 일선에서 물러나셔서 원로사목자로 생활하신지도 벌써 10년이 넘었는데도 많은 분들이 잊지 않고 찾아오셨다는 것은 그만큼 열심히 사셨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그러면서 내 자신에게 스스로 질문을 던져봅니다. 나는 과연 열심히 살고 있는가? 혹시 사람들에게 잊혀지는 희미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열심히 주님의 뜻에 맞게 사셨던 신부님의 모습에 힘찬 박수를 드립니다. 그리고 저 역시 더 열심히 살겠다는 다짐을 해 봅니다.

신부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영적으로 또 육적으로도 더욱 더 건강하시길 기도합니다.


카카오스토리에서 공유하기 페이스북에서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에서 공유하기 트위터에서 공유하기 Blogger에서 공유하기

  신비 (2012/10/15 07:21:47)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신부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영적으로 또 육적으로도 더욱 더 건강하시길 기도합니다...........!
  
  푸른하늘 (2012/10/15 08:17:17)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아는 만큼 믿는다는 말씀 맞는 말입니다.
맹목적인 믿음은 형식에 맞게 의미도 없이 따라갈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알지 못 하고는 믿을 수 없기에
제일 먼저 주님께 물었습니다.
당신은 누구십니까?
가르쳐 주시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성경을 보게된 첫번째 이유라고 말씀 드린적이 있습니다.
한번 두번 열번 스무번 자꾸 자꾸 관찰을 해야
새롭게 새롭게 알아갈 수가 있으니까!
자주 만나서 이해 못 하는 점은
왜? 그런지 이유도 묻고 질문을 해야 합니다.
대화없이는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으시니까
주님께선 단 둘이 만나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 하기를 좋아하십니다.
그러면서도 저는 죄를 많이 짓고 삽니다.
주님 마음 아프게 할때가 많습니다.
용서해 주세요.
주님!
우리는 사랑하는 친구니까!
  
  고래 (2012/10/15 09:54:35)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저는 외국에 있는 신자입니다. 매일 아침 신부님의 강의를 통해 묵상도 하고 삶의 의미를 다시 찾곤 합니다. 매일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주님을 알아가며 믿음이 더욱 굳건해 지도록 기도합니다.
  
  토리 (2012/10/15 12:40:57)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감사합니당
  
  착한무지개 (2012/10/15 14:08:15)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교구장님께 50년동안 사제직을 충실하게 하신 힐라리오신부님 감사합니다.
  
  대천사가족♡모바일에서 올림 (2012/10/16 22:34:14)
 이 댓글이 좋아요 싫어요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믿고..가끔 열가지를 알고 있다 느끼면서 남들이 아는 오십가지의 열가지인지 백가지의 열가지를 알고는 자만하지는 않는지 라는생각을 해봅니다
  

  댓글 쓰기

 
로그인 하셔야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여기를 눌러 로그인하세요.
 


목록

 

본 게시물에 대한 . . . [   불량글 신고 및 관리자 조치 요청   |   저작권자의 조치요청   ]
| 마리아사랑넷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메일추출방지정책 | 사용안내 | FAQ | 관리자 연락 | 이메일 연락
Copyright (c) 2000~2025 mariasarang.net , All rights reserved.
가톨릭 가족공간 - 마리아사랑넷 -